[나관호목사 칼럼] 인생거북이 아날로그 철학박사 ...“스트레스 받는 빠름은 '디지털 인생', 여유있는 느림은 '아날로그' 인생”
[나관호목사 칼럼] 인생거북이 아날로그 철학박사 ...“스트레스 받는 빠름은 '디지털 인생', 여유있는 느림은 '아날로그' 인생”
  • 나관호 목사
  • 승인 2020.11.06 22: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관호 목사의 행복발전소 123]
속도전쟁터가 ‘디지털 세계’/
“동작 빨리”, 경우 분별 해야/
파바로티, 신중선택 만든 성악가/
아날로그 인생, 여유 가지는 것/
아날로그 선택, 침착성 가지는 것/

【뉴스제이】 지구상에 사는 생물 중 거북은 오래 사는 동물 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의 십장생에서 보자면 거북은 만년을 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거북 중에는 100년 이상이 사는 것이 있으며, 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장수하는 무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개 애완용 육생 종에서 특히 오래 사는 경우를 볼 수 있으며, 거북이 처음 사육하던 사람보다 장수하는 경우에는 그 거북에 대해 정확한 기록을 얻기가 더 힘든 편입니다. 100년 정도 사는 거북은 주로 코끼리거북이나 바다거북 같은 덩치 큰 녀석들입니다.
 
기네스북에 의하면 1773년 영국의 탐험가였던 제임스 쿡 선장은 통가왕국 왕실에 '투이 마릴라'(Tu'i Malila) 라는 마다가스카르(Madagascar) 거북을 선물했습니다. 이 거북은 왕실의 보살핌 속에 1965년까지 살다가 죽었다고 합니다. 무려 192세 넘게 산 것이라고 합니다. 기네스북에 정식으로 기록된 가장 오래 산 거북입니다.

또, 오래 사는 것은 코끼리거북이 인데, 180세 정도까지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도양의 알다브라(Aldabra)섬에 사는 ‘알다브라 코끼리거북’이 152년 살았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문헌에 의하면 1766년, 프랑스의 탐험가인 마리오(Mario)에 의해 세셀(Sesel) 제도에서 모리셔스(Mauritius)로 옮겨진 코끼리거북은 200세였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코끼리거북의 수명은 150-200세 정도라고 보면 좋을 것입니다.

디지털 세상은 눈만 껌벅이면 다른 것이 나옵니다. 속도가 재산이고, 속도 전쟁을 하는 것이 디지털 세계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삶은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조화를 이뤄야 합니다. 

그렇다면 왜 거북이는 오래 사는 것일까요? 그것은 거북이 느리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빠르고 급한 동물은 느린 동물에 비해 수명이 짧습니다. 맹수인 사자와 호랑이의 수명은 야생에서 10-15년 정도입니다. 사육을 받아도 20년을 못 넘긴다. 그나마 사육 받는 맹수가 몇 년 더 오래 사는 것은 빠르게 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 느린 ‘나무늘보’는 얼마나 살까요? 수명이 12년 정도입니다. 그렇다면 예외가 있는 것일까요? 아닙니다. ‘나무늘보’는 육상에서는 느리지만 물 속에서는 무척 빠릅니다. ‘나무늘보’는 빠른 동물입니다.

사냥을 위해, 도망을 위해 빠르게 살다보면 짐승들도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스트레스는 사람이나 짐승이나 모두에게 독입니다. 느리게 사는 동물들은 스트레스를 덜 받습니다.

깊이 생각해봐야 할 것이 있습니다, 동물원의 공식적인 사육기록을 보면, 모든 거북이 종이 오래 산 것은 아닙니다. 아마존강에서 사는 ‘악어거북’이 58년 10개월, ‘남생이’가 24년 3개월, ‘붉은 바다거북’이 33년, ‘나일자라’가 37년이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공통점은 동물원에서 살았다는 점입니다. 거북이는 동물원에서 사람들의 돌봄 속에서 살면 수명이 줄어든 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것은 바다 속이나 야생에서 본능적인 느림보로 살면서 먹이도 느리게 먹고, 움직임도 느리게 사는 것이 아니라, ‘동물원’이라는 갇힌 공간에서 사육사가 던져주는 먹이를 경쟁적으로 빠르게 움직여야 먹을 수 있고, 눈치(?)도 빨라야 살 수 있습니다. 그렇게 자연속의 느림보가 아니라 동물원이 요구하는 ‘빠름과 경쟁’ 속에서 살기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입니다.

자라농장에 가본 적이 있습니다. 먹이를 던져 주자 자라가 얼마나 빠르게 먹이를 경쟁적으로 먹는지 볼 수 있었습니다. 물론 자라와 거북은 종은 다르지만, 위에서 언급한 ‘나일자라’가 비슷한 외모를 가지고 있으니까요.

‘빠르게 사는 것’은 ‘디지털’(digital)입니다. 반대로 ‘느린 것’은 ‘아날로그’(analogue)입니다. ‘0과 1’의 신호만으로된 구성이 디지털을 빠르게 만듭니다. 반면, 아날로그는 ‘0부터 9까지’ 모든 숫자가 필요합니다. 밥 먹고 일만 하는 사람은 ‘디지털 인생’이고, 밥 먹고 일하고, 하늘보고 꽃을 보고, 햇빛 쬐고 비바람 맞고, 바람 느끼고 향기 맡는 사람은 ‘아날로그 인생’입니다.

디지털 세상은 눈만 껌벅이면 다른 것이 나옵니다. 속도가 재산이고, 속도 전쟁을 하는 것이 디지털 세계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삶은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조화를 이뤄야 합니다. 디지털 세상 속에서 느리게 사는 것이 지혜인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것에 적용해서는 안됩니다. 횡단보도를 건너는데, 물에 빠졌을 때, 돌이 날라 올 때, 차를 멈춰 설 때 느리다가는 낭패를 봅니다. “동작 빨리”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느리게 살라는 권면(?), 즉 아날로그적인 삶을 살라는 것은 “여유를 가지라”는 말입니다. 생각할 시간, 고민할 시간, 분석할 시간을 갖고, 한 박자 느리게 가라는 말입니다. 그래야 선택의 길에서 실수가 적어집니다. 앙드레 지드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사람이 바른 선택을 하려면, 선택하려는 그 하나만을 볼 것이 아니라, 선택에서 제외되는 나머지를 살펴야 한다.”

세계적인 테너가수인 파바로티는 어릴 때부터 음악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빵장수를 하던 아버지는 아들의 재능을 키워주기 위해 애를 썼습니다. 그러나 청년기를 거치면서 파바로티의 관심은 오히려 교육에 쏠려 대학에서도 '교육학'을 전공하게 됩니다. 

청년 파바로티는 오랜 시간 심사숙고한 끝에 성악을 선택했습니다. 서둘러 진로를 망치지 않았습니다. 어떤 길이 더 자신에게 맞는지 아날로그 정신으로 생각하고 또 생각했습니다.

졸업 때가 가까워지자 파바로티가 진로문제를 놓고 고민에 빠졌습니다. 그는 내심 '성악'과 '교육'을 동시에 붙잡고 빨리 성공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마음이 분주해졌습니다. 욕심이 생겼습니다. 그때 아버지가 파바로티의 방에 들어가 방안에 있던 의자 두개를 멀리 떼어 놓은 뒤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처럼 멀리 떨어져 있는 의자 위에 동시에 앉으려면 너는 바닥에 떨어지고 만다. 의자에 앉으려면 반드시 한 의자를 선택해야 하고 그 선택은 네 자신이 해야 한다."

결국, 청년 파바로티는 오랜 시간 심사숙고한 끝에 '성악'을 선택했습니다. 서둘러 진로를 망치지 않았습니다. 어떤 길이 더 자신에게 맞는지 아날로그 정신으로 여유를 가지고 생각하고 또 생각했습니다.

우리도 천천히 깊게,여유를 가지고 생각해야 합니다. 고민하고, 쉽게, 급하게, 빠르게 달리지 말고, ‘마음 마라톤’을 해야합니다. 적당한 속도로 페이스를 유지해 가며, 천천히 마음 달리기를 해야합니다. 그리고 주변을 살피며, 하늘도 보고 바람도 느껴야 합니다.

거북처럼 달리고 아날로그로 천천히 가다 보면 ‘인생거북이 아날로그 철학박사 학위’를 받게 될 것입니다. 오늘도 느리게 살아봅시다. 천천히 선택하고, 결정하고, 느린 생각을 하며 안식해 보십시오. 길이 보일 것입니다. 물론, 위에서 말한 횡단보도를 건너고 돌이 날라 올 때는 절대적으로 “동작 빨리”가 필요합니다.

‘인생거북이 아날로그 철학박사 학위’는 여유 가진 사람, 생각이 깊은 사람, 인생길 선택에 신중한 사람, 천천히 이웃도 돌아보는 여유를 가진 사람에게 주어지는 특별인생 학위가 됩니다.

과정 없이 ‘빽’으로, ‘돈주머니’를 통해 ‘빨리빨리’만으로 나가는 사람에게는 ‘인생사자 디지털 추락빽써 허위’가 주어집니다. 아무리 잘해도 ‘철학박사나 학위’를 받지 못합니다.

그렇지만 인생은 수학이 아니라서 바른 정도를 따라 빨리가면 잘되는 인생이 있습니다. 그것은 형태는 빠르지만 마음이 아날로그인 사람입니다.

어떤 상황 속에서도 여유와 침착함으로 마음을 다스리기 때문입니다. 마치 시속 200KM로 페라리를 몰면서, 사고 나지 않는다는 마음으로 긴장은 하지만 침착하고 여유 있게 운전하는 사람과 같습니다.

 

나관호 목사 ( 뉴스제이 대표 및 발행인 / 말씀치유회복사역원 원장 / 치매가족멘토 / 문화평론가 / 크리스천커뮤니케이션연구소 소장 / 기윤실 선정 '한국 200대 강사' / 역사신학 및 대중문화 연구교수 / ‘미래목회포럼’ 정책자문위원/ ‘한국교회언론회’ 전문위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안보면 후회할 기사
카드뉴스